본문 바로가기
HTML&CSS/HTML

<div>, <table>태그

by Mr.DonyStark 2023. 11. 5.

□ <div>태그는 division 약자로 html문서 중 특정부분을 지정할 때 사용

css, javascript로 특정부분을 효과를 적용할 때 사용

<table>태그는 표구현시 사용하는 태그이며, 작성시 아래 태그들을 활용해 표 작성

 ○ thead : 컬럼명들이 위치할 부분이자 영역

 ○ th : 컬럼명(값)

 ○ tbody : 행 또는 데이터 값들이 위치할 부분이자 영역

 ○ tr : 행 영역

 ○ td : 행과 열의 값

   - <table>태그 사용시 영역확장 ※병합이 아닌 확장임

   - colspan : 열 영역확장 (정수 숫자입력하여 확장)

   - rowspan :  행 영역확장 (정수 숫자입력하여 확장)  

 ○ tfoot : 마지막 행이자 테이블의 마지막을 의미

<!--(emmet 단축키) html:5 입력 후 tab 키를 치면 아래와 같은 기본 코드(기본 템플릿)가 자동생성됨-->
<!DOCTYPE html>      <!--해당 문서가 HTML을 알리며 부라우저가 랜더링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-->

<html lang="en">            <!--언어설정으로 한국어는 'ko'로 설정-->
<head>                      <!--헤더부분 : 문서를 대표하는 제목태그로 title과 meta 태그를 사용함-->
    <!--meta태그 : 문서 전반에 걸친 정보 표시. name으로 description, keywords, author 등을 많이 사용함-->
    <meta charset="UTF-8">  
    <meta name = "description" content= "첫 실습 코드">     <!--검색 키워드-->
    <!--<meta name = "keywords" content= "html/css">-->
    <!--<meta name = "author" content= "DH.KIM">-->
    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 /> <!--인터넷 익스플로러 IE 최신 표준 모드로 랜더링되는 태그. 호환성 이슈로 반드시 기재해야함--> 
    <!--viewport : 현재 화면에 보여지고 잇는 직사각형 영역으로 웹 브라우저 상에서는 현재 창에서 문서를 볼 수 있는 화면의미-->   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user-scalable=no, initial-scale=1.0, maximum-scale=1.0, minimum-scale=1.0"/>

    <!--CSS파일을 적용 및 연동하기위해 link 태그사용. 주로 css파일과 아이콘 파일을 가져오기 위해 사용-->
    <link rel = "stylesheet" href = "C:/Publishing/src/test_style.css">

    <!--css코드를 html문서에 작성할 때 사용. css 코드는 link로 가져오거나 style태그를 사용해 활용-->
    <style>
    table, tr, td {
        background-color: black;
        color:chartreuse;
        border: solid;
         }
    </style>

    <title>테스트입니다</title>  <!--웹 헤더시트 명-->
</head>
<body>  <!--바디부분-->
    <!--테이블 태그-->
    <!--확장 : colspan td태그에서 열 확장 -->
    <!--확장 : rowspan td태그에서 행 확장 -->    
    <div> 
        <h1>
            테이블 편집(전)
        </h1>
    <table>
        <thead><!--컬럼명. 컬럼(열)들을 가진 행 표시. 즉, 컬럼명들이 위치할 부분임-->
            <th>필드1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2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3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4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5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</thead> 
        <tbody><!--행 또는 행의 데이터 값들이 위치할 부분임--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>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2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3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4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5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>6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7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8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9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0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>1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2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3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4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5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foot><!--표의 마지막 행영역 표시태그-->
                <tr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2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3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4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5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/tfoot>
        </tbody>
    </div>
    <div> 
        <table>
        <h1>
            테이블 편집(후)
        </h1>
        <thead><!--컬럼명. 컬럼(열)들을 가진 행 표시. 즉, 컬럼명들이 위치할 부분임-->
            <th>필드1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2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3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4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5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    <th>필드6</th><!--컬럼명-->
        </thead> 
        <tbody><!--행 또는 행의 데이터 값들이 위치할 부분임--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>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 colspan="2">2</td><!--colspan을 사용해 2만큼 확장-->
                <td colspan="3">3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 rowspan="2">6</td><!--rowspan을 사용해 2만큼 확장-->
                <td rowspan="3">7</td><!--rowspan을 사용해 3만큼 확장-->
                <td>8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9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 rowspan="3">10</td><!--rowspan을 사용해 3만큼 확장-->
                <td>1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>1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2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3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r><!--행 영역-->
                <td>16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7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8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td>19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foot><!--표의 마지막 행영역 표시태그-->
                <tr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1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2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3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4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5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    <td>마지막열6</td><!--행과열에 대한 값-->
    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/tfoot>
        </tbody>
    </table>
    </div>
</body>
</html>

'HTML&CSS > HTM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<form>,<input>태그  (0) 2023.11.07
리스트 : <ol>,<ul>,<li>태그 / img 태그  (0) 2023.11.05
<p>태그, <a>태그  (0) 2023.11.05
<h>~</h>태그  (0) 2023.11.05